본문 바로가기

명작

[증언들] 디스토피아를 파괴하려는 한 아주머니의 이야기 은 2019년 부커상을 수상한 마거릿 애트우드의 장편소설로, 전작 에서 15년이 지난 후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.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길리아드를 살아가는 세 여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전작 말미에 밝혀진 길리아드 붕괴의 전말을 드러낸다. 길리아드의 창립 ‘아주머니’ 중 한 명이자 유일하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‘리디아 아주머니’, 높은 사령관의 딸로 특권층의 삶을 살고 있는 ‘아그네스’, 그리고 길리아드에서 탈출해 캐나다에서 비밀스럽게 살고 있던 ‘데이지’가 그 주인공으로, 이들은 각각 자필서와 녹취록을 통해 길리아드의 뿌리 깊은 부패를 드러낸다. 이 과정에서는 전작 에서 열린 결말로 끝난 오브프레드의 생사 또한 밝혀지면서 그녀의 딸에 대한 단서도 하나 둘 드러난다. 세 여자의 증언들이 정권을 붕괴하는 ..
[시녀이야기] 디스토피아를 살고 있는 한 시녀의 이야기 는 1985년 마거릿 애트우드가 발표한 장편소설로, 최근 34년만에 발표한 후속작으로 부커 상을 받은 의 속편이다. 이 책은 21세기 중반 세계적인 전쟁과 환경오염, 그리고 각종 성병으로 인해 출생률이 급 저하되자 새로운 남성 권력층은 ‘길리아드’라는 전체주의 국가를 배경으로 한다. 길리아드는 가부장제와 성경을 근본으로 두며 평범하게 살고 있던 국민들을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계급으로 나누는데, 주목해야 할 건 바로 여성의 분류이다. 여성은 과거의 직업과 임신가능 여부에 따라 ‘아내’, ‘하녀’, ‘시’' 등의 계급으로 나뉘는데, 이 책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‘오브프레드’가 바로 생식의 기능만을 목적으로 하는 ‘시녀’ 계급의 여성이다. 소설은 인권이 유린되고 차별을 일삼았던 과거 사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..
[죽은 시인의 사회, 1990] 현대 교육제도의 맹점을 비판하다. 카르페 디엠! (Carpe Diem!) 지금 살고 있는 이 순간에 충실하라는 뜻의 라틴어이다. 영화 에서 존 키팅이 학생들에게 계속해서 던지는 말로, 미래를 위한 투자(영화에서는 대학 입시 준비)도 좋지만 현재 또한 중요한 순간임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. 는 사회 비판 영화로써 1989년 피어 위어 감독이 연출하였다. 이 영화는 아카데미 각본상뿐만 아니라 영국 아카데미 작품상과 음악상을 수상하였다. 1950년대의 남자 사립학교 웰튼은 보수적인 학교였다. 이 학교의 학생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로 인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둬 아이비리그(미국 북동부에 있는 8개의 명문 사립대학)을 갔을지는 몰라도 자유가 말살당한 삶을 살기 일쑤였다. 이 때 새 영어 교사로 부임하게 된 "존 키팅" 선생님(로빈 윌리엄스)으..
[포레스트 검프, 1994] 인생이란, 초콜릿 상자와 같다. 1994년에 첫 개봉하였고 2016년에 다시 한번 개봉했던 영화, 포레스트 검프. 예전부터 영화 이름은 자주 들어봤지만, 포스터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, 본 적이 없었다. 그 와중에 넷플릭스에서 이 영화가 있는 것을 보고 시청하게 되었다. 이 영화에는 남들보다 조금 머리가 좋지 않은 남자 한명이 등장한다. 중요한 것은 그가 '다른 사람'이 아니라는 것. 그는 단지 남들보다 머리가 좋지 못할 뿐이었다. 하지만 고민이 깊지 않기에 행동력은 그 누구보다 뛰어나다. 그의 이름은 '포레스트 검프' 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남자이다. 처음에 이 영화의 주인공이 실제 존재했던 사람일까? 하고 의문을 품었었지만, 실제로 존재했던 사람의 이야기는 아니다. 하지만 실화 바탕의 영화가 아니라고 해서 이 영화의 내용이..